☞ 불임증 : 불임증이란 결혼해서 3년이 지나도 아기가 생기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이 확실한 경우와 잘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남자는 무정자증, 여성은 배란장애, 난관이상,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불임증에 좋은 식품은 율무, 우엉, 사프란, 콩, 목이버섯
등이다.
율무 : 단맛과 미한 성질이 있다. 율무의 성질이 미한이라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냉증으로 인해 불임증인 사람은 홍화나 사프란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
- 율무 20그램을 물 540그램에 넣고 절반으로 졸인다. 다시 물 270cc를 넣고 또 절반이 될 때까지 졸인 다음 식사 30분 전에 복용한다. 율무 건더기도 함께 먹는다. 사프란, 홍화를 넣으면 더욱 좋다.
우엉 : 단맛과 한 성질이 있다. 우엉은 혈액순환을 촉진해 부인의 혈맥을 좋게 하여 오래된 피를 제거하는 작용이 우수하다.
- 가늘게 썬 우엉을 소량 거즈에 싸서 0.9리터의 청주에 담궈 1주일 정도 둔다. 공복시에 1커1 마신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사프란을 예로부터 부인약으로 유명하다.
- 사프란 15개를 탕만 찻잔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식한 다음 맑은 액만 마신다. 5시간이 지나면 찌꺼기에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 같은 방법으로 마신다.
콩 : 단맛과 평한 성질이 있다. 검정콩이 가장 우수하다. 콩은 현대영양학 측면에서 보아도 매우 뛰어난 식품이다.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 B2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신장을 보강하는 중요한 식품으로 불임증인 사람에게도, 임신후에도 건강에 좋은 식품이 된다. 특히 생리불순으로 인한 불임증에 좋다.
- 콩을 볶아 분말로 만들어 1회 90그램 정도씩 차조기잎을 달이 액과 함께 복용하면 좋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목이버섯은 '눈을 밝게하여 기를 보강하며 아기를 갖게한다'고 알려져 있다. 생리불순이 있어 임신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넣고 잘 달여 복용한다.
☞ 갱년기 장애 : 갱년기 장애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폐경기 무렵에 찾아오는 몸의 이상현상을 말한다. 두통, 현기증, 어깨결림, 변비, 정신불안 등 사람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다. 특효약은 없고 식이요법이 효과적이다. 갱년기 장애에 좋은 식품은 차조기, 허브차, 사프란, 칡, 금침채, 백합뿌리, 시금치 등이다.
차조기 : 매운맛과 온 성질이 있다. 차조기는 정신을 안정시키는 식품이다. 갱년기 장애로 불안해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차조기잎과 파로 스프를 만들어 복용한다.
허브차 : 짠맛과 평 성질이 있다. 동계, 현기증, 어깨결림, 이명, 식은 땀, 번열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사람에게 좋다.
- 말린 허브차, 이질풀, 뽕나무가지를 각각 20그램씩 준비해 물 700cc를 부어 절반이 될 때까지 달여 복용한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냉증, 두통 등의 갱년기 장애에 좋다.
- 암꽃술 10개를 찾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색이 우러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식으면 맑은 웃물을 마신다. 색이 우러나면 몇번 이라도 먹을 수 있다.
칡 : 단맛과 매운맛, 평 성질이 있다. 두통 및 어깨결림이 심한 갱년기 장애에 효과적이다.
- 1일 20그램을 달여 복용한다.
금침채 : 단맛과 양 성질이 있다. 금침채를 일명 망우(忘憂), 안신채(安神菜)라고 부르는 것처럼 정신불안 및 불면증에 매우 효과적이다. 갱년기 장애로 쉽게 지치고 초조해하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 금침채를 많이 넣어 스프를 끓여 먹는다.
백합뿌리 : 백합뿌리는 갱년기 장애인 사람의 정신불안 및 원인도 확실하지 않으면서 몸이 아픈 증세에 효과적이다. 현대의 정신병 및 노이로제는 옛날에는 한방에서 백합병이라고 해서 백합이 아니면 치료되지 않는 병이라고 할 정도.
- 백합뿌리 7개를 물에 하루동안 담궈 다름날 1공기 정도의 분량으로 졸여 찌꺼기는 버리고 계란 노른자를 넣어 1회 반공기, 1일 2회 복용한다.
시금치 : 단맛과 한 성질이 있다. 갱년기 장애로 고혈압, 변비, 두통, 번열감, 현기증 등이 있는 사람은 시금치를 상식하면 좋아진다. 시금치와 간을 이용한 스프는 빈혈이 있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 시금치를 데쳐 참기름에 볶아 상식한다.
☞ 자궁근종 : 자근근종은 자궁에 혹이 생겨 점점 커지는 양성종양이다. 증상으로는 월경기간이 길어지고 월경량이 증가하며, 월경주기가 짧아지고 생리통이 있으며, 부정기적인 출혈 등의 증상이 있다. 자궁근종은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의사화 상담한 후 식이욥법을 실시한다. 자궁근종에 좋은 식품은 곤약, 연꽃, 목이버섯 등이다.
곤약 : 단맛과 냉 성질이 있다. 곤약을 뜨겁게 데워 외용한다.
- 부정기적으로 출혈이 있을 때는 발에서 발목을 거켜 차거나 결리는 곳에다 2-3분 데쳐 뜨거워진 곤약을 대어 따뜻하게 한다.
연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연꽃마디나 열매는 지혈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자궁출혈에 많이 사용된다.
- 연꽃열매를 분말로 만들어 1회 10그램, 1일 3회 복용한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을 갖고 있다. 목이버섯은 부인과계 질환에 매우 효과적이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붓고 잘 달여 복용한다.
☞ 월경이상
- 익모초, 쉽싸리, 꼭두선이 뿌리를 각각 20그램씩 넣고 끓이 후 국물을 공복에 복용
- 쑥을 생즙내어 먹음
- 닭 1마리, 황기 15그램, 당귀 20그램, 파, 생강, 청주 등을 넣고 끓여 먹음
- 접시꽃을 달여 먹음
- 익모초, 밤, 대추를 넣고 달여 먹음
☞ 월경불순 : 월경불순은 호르몬의 균옇이 깨졌을 경우나 정신상태가 불안정해도 생기는 질환이다. 예절일 5일 전후는 정상이다. 하복부통, 요통, 두통, 구토, 초조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월경불순에 좋은 식품은 사프란, 율무, 생강, 곤약, 미나리, 콩, 목이버섯이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사프란은 부인병의 묘약으로 유명하다.
- 사프란 1-2개를 작은 사기잔 1잔의 뜨거운 물에 넣어 복용한다.
율무 : 단맛과 미한 성질이 있다. 율무는 몸 속의 수분과 혈액을 정화하는 작용이 강하므로 생리불순에도 많이 사용된다.
- 율무뿌리를 물에 씻어 말린 것을 달여 복용한다.
생강 : 매운맛과 온 성질이 있다. 말린 생간을 건강이라고 한다. 몸을 덥게 하는 작용이 우수하다. 냉증이나 월경불순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건강 30그램, 대추 30그램, 꿀 30그램에 적당량의 물을 붓고 달여 복용한다.
곤약 : 단맛과 냉 성질이 있다. 곤약을 따뜻하게 하여 외용으로 사용한다.
- 곤약 3개를 열탕에서 3분 정도 데워 마른 타월에 싸서 하복부와 양쪽 허리에 댄다.
미나리 : 단맛과 양 성질이 있다. 미나리는 오래 전부터 월경과 깊은 관련이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 말린 미날 500그램에 두 사발의 물을 붓고 절반이 될 때까지 졸여 복용한다. 매일 마셔도 좋다.
콩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안태(安胎)작용이 있으므로 상식해도 좋고 생리불순인 사람에게도 좋은 식품이다.
- 검정콩을 볶아 가루로 만들어 1회 9그램 정도 차조기잎을 달인 액가 함께 복용한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목이버섯의 주된 효능은 혈액의 정화작용으로 부인과계 질환을 비롯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치질 등에 좋은 식품이다. 건조한 피부를 개선하는 미용식으로도 안성맞춤. 목이버섯 중에서 흰 목이버섯은 유명하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붓고 잘 달여 복용한다.
☞ 월경통
- 복숭아 씨의 알맹이를 30개 정도 넣고 푹 끓여 식적에 국물 복용
- 닭과 접시꽃 나무를 넣고 삶아 먹음
- 천궁과 당귀 각각 10그램, 생강 2그램을 넣고 끓여 복용
- 가물치 1마리, 뽕나무 뿌리 50그램을 양념과 넣고 끓여 먹음
- 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 먹음
☞ 자궁염
- 선인장을 찧여 생즙을 마심
- 말린 오이풀을 달여 먹음
- 칡 넝쿨 껍질을 달여 마심
- 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심
율무 : 단맛과 미한 성질이 있다. 율무의 성질이 미한이라 몸을 차게 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냉증으로 인해 불임증인 사람은 홍화나 사프란을 함께 사용하면 좋다.
- 율무 20그램을 물 540그램에 넣고 절반으로 졸인다. 다시 물 270cc를 넣고 또 절반이 될 때까지 졸인 다음 식사 30분 전에 복용한다. 율무 건더기도 함께 먹는다. 사프란, 홍화를 넣으면 더욱 좋다.
우엉 : 단맛과 한 성질이 있다. 우엉은 혈액순환을 촉진해 부인의 혈맥을 좋게 하여 오래된 피를 제거하는 작용이 우수하다.
- 가늘게 썬 우엉을 소량 거즈에 싸서 0.9리터의 청주에 담궈 1주일 정도 둔다. 공복시에 1커1 마신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사프란을 예로부터 부인약으로 유명하다.
- 사프란 15개를 탕만 찻잔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식한 다음 맑은 액만 마신다. 5시간이 지나면 찌꺼기에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 같은 방법으로 마신다.
콩 : 단맛과 평한 성질이 있다. 검정콩이 가장 우수하다. 콩은 현대영양학 측면에서 보아도 매우 뛰어난 식품이다.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 B2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신장을 보강하는 중요한 식품으로 불임증인 사람에게도, 임신후에도 건강에 좋은 식품이 된다. 특히 생리불순으로 인한 불임증에 좋다.
- 콩을 볶아 분말로 만들어 1회 90그램 정도씩 차조기잎을 달이 액과 함께 복용하면 좋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목이버섯은 '눈을 밝게하여 기를 보강하며 아기를 갖게한다'고 알려져 있다. 생리불순이 있어 임신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넣고 잘 달여 복용한다.
☞ 갱년기 장애 : 갱년기 장애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폐경기 무렵에 찾아오는 몸의 이상현상을 말한다. 두통, 현기증, 어깨결림, 변비, 정신불안 등 사람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다. 특효약은 없고 식이요법이 효과적이다. 갱년기 장애에 좋은 식품은 차조기, 허브차, 사프란, 칡, 금침채, 백합뿌리, 시금치 등이다.
차조기 : 매운맛과 온 성질이 있다. 차조기는 정신을 안정시키는 식품이다. 갱년기 장애로 불안해 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차조기잎과 파로 스프를 만들어 복용한다.
허브차 : 짠맛과 평 성질이 있다. 동계, 현기증, 어깨결림, 이명, 식은 땀, 번열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사람에게 좋다.
- 말린 허브차, 이질풀, 뽕나무가지를 각각 20그램씩 준비해 물 700cc를 부어 절반이 될 때까지 달여 복용한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냉증, 두통 등의 갱년기 장애에 좋다.
- 암꽃술 10개를 찾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색이 우러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식으면 맑은 웃물을 마신다. 색이 우러나면 몇번 이라도 먹을 수 있다.
칡 : 단맛과 매운맛, 평 성질이 있다. 두통 및 어깨결림이 심한 갱년기 장애에 효과적이다.
- 1일 20그램을 달여 복용한다.
금침채 : 단맛과 양 성질이 있다. 금침채를 일명 망우(忘憂), 안신채(安神菜)라고 부르는 것처럼 정신불안 및 불면증에 매우 효과적이다. 갱년기 장애로 쉽게 지치고 초조해하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 금침채를 많이 넣어 스프를 끓여 먹는다.
백합뿌리 : 백합뿌리는 갱년기 장애인 사람의 정신불안 및 원인도 확실하지 않으면서 몸이 아픈 증세에 효과적이다. 현대의 정신병 및 노이로제는 옛날에는 한방에서 백합병이라고 해서 백합이 아니면 치료되지 않는 병이라고 할 정도.
- 백합뿌리 7개를 물에 하루동안 담궈 다름날 1공기 정도의 분량으로 졸여 찌꺼기는 버리고 계란 노른자를 넣어 1회 반공기, 1일 2회 복용한다.
시금치 : 단맛과 한 성질이 있다. 갱년기 장애로 고혈압, 변비, 두통, 번열감, 현기증 등이 있는 사람은 시금치를 상식하면 좋아진다. 시금치와 간을 이용한 스프는 빈혈이 있는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 시금치를 데쳐 참기름에 볶아 상식한다.
☞ 자궁근종 : 자근근종은 자궁에 혹이 생겨 점점 커지는 양성종양이다. 증상으로는 월경기간이 길어지고 월경량이 증가하며, 월경주기가 짧아지고 생리통이 있으며, 부정기적인 출혈 등의 증상이 있다. 자궁근종은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의사화 상담한 후 식이욥법을 실시한다. 자궁근종에 좋은 식품은 곤약, 연꽃, 목이버섯 등이다.
곤약 : 단맛과 냉 성질이 있다. 곤약을 뜨겁게 데워 외용한다.
- 부정기적으로 출혈이 있을 때는 발에서 발목을 거켜 차거나 결리는 곳에다 2-3분 데쳐 뜨거워진 곤약을 대어 따뜻하게 한다.
연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연꽃마디나 열매는 지혈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자궁출혈에 많이 사용된다.
- 연꽃열매를 분말로 만들어 1회 10그램, 1일 3회 복용한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을 갖고 있다. 목이버섯은 부인과계 질환에 매우 효과적이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붓고 잘 달여 복용한다.
☞ 월경이상
- 익모초, 쉽싸리, 꼭두선이 뿌리를 각각 20그램씩 넣고 끓이 후 국물을 공복에 복용
- 쑥을 생즙내어 먹음
- 닭 1마리, 황기 15그램, 당귀 20그램, 파, 생강, 청주 등을 넣고 끓여 먹음
- 접시꽃을 달여 먹음
- 익모초, 밤, 대추를 넣고 달여 먹음
☞ 월경불순 : 월경불순은 호르몬의 균옇이 깨졌을 경우나 정신상태가 불안정해도 생기는 질환이다. 예절일 5일 전후는 정상이다. 하복부통, 요통, 두통, 구토, 초조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월경불순에 좋은 식품은 사프란, 율무, 생강, 곤약, 미나리, 콩, 목이버섯이다.
사프란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사프란은 부인병의 묘약으로 유명하다.
- 사프란 1-2개를 작은 사기잔 1잔의 뜨거운 물에 넣어 복용한다.
율무 : 단맛과 미한 성질이 있다. 율무는 몸 속의 수분과 혈액을 정화하는 작용이 강하므로 생리불순에도 많이 사용된다.
- 율무뿌리를 물에 씻어 말린 것을 달여 복용한다.
생강 : 매운맛과 온 성질이 있다. 말린 생간을 건강이라고 한다. 몸을 덥게 하는 작용이 우수하다. 냉증이나 월경불순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건강 30그램, 대추 30그램, 꿀 30그램에 적당량의 물을 붓고 달여 복용한다.
곤약 : 단맛과 냉 성질이 있다. 곤약을 따뜻하게 하여 외용으로 사용한다.
- 곤약 3개를 열탕에서 3분 정도 데워 마른 타월에 싸서 하복부와 양쪽 허리에 댄다.
미나리 : 단맛과 양 성질이 있다. 미나리는 오래 전부터 월경과 깊은 관련이 있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 말린 미날 500그램에 두 사발의 물을 붓고 절반이 될 때까지 졸여 복용한다. 매일 마셔도 좋다.
콩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안태(安胎)작용이 있으므로 상식해도 좋고 생리불순인 사람에게도 좋은 식품이다.
- 검정콩을 볶아 가루로 만들어 1회 9그램 정도 차조기잎을 달인 액가 함께 복용한다.
목이버섯 : 단맛과 평 성질이 있다. 목이버섯의 주된 효능은 혈액의 정화작용으로 부인과계 질환을 비롯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치질 등에 좋은 식품이다. 건조한 피부를 개선하는 미용식으로도 안성맞춤. 목이버섯 중에서 흰 목이버섯은 유명하다.
- 목이버섯 60그램을 약간 볶아 물 1컵을 붓고 잘 달여 복용한다.
☞ 월경통
- 복숭아 씨의 알맹이를 30개 정도 넣고 푹 끓여 식적에 국물 복용
- 닭과 접시꽃 나무를 넣고 삶아 먹음
- 천궁과 당귀 각각 10그램, 생강 2그램을 넣고 끓여 복용
- 가물치 1마리, 뽕나무 뿌리 50그램을 양념과 넣고 끓여 먹음
- 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 먹음
☞ 자궁염
- 선인장을 찧여 생즙을 마심
- 말린 오이풀을 달여 먹음
- 칡 넝쿨 껍질을 달여 마심
- 옥수수 수염을 달여 마심
출처 : 산부인과 질환 민간요법
글쓴이 : 비상 원글보기
메모 :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소금을 이용한 간단한 민간요법 (0) | 2007.04.05 |
---|---|
[스크랩] 꿀 (굉장한 효능) (0) | 2007.04.05 |
[스크랩] 민간요법 (속쓰림, 요통, 견비통 각종 병에...) (0) | 2007.04.05 |
[스크랩] 동의보감 민간 요법 100가지 (0) | 2007.04.05 |
[스크랩] 생활 속 민간요법, 진짜 효과 있을까? (0) | 2007.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