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천수와 후천수 ]
수는 음의 수와 양의수로 나눈다.
1, 3, 5, 7, 9는 양의 수이다.
2, 4, 6, 8, 10은 음의 수이다.
천간은 갑, 을 ,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를 말하고 십간이라고 부른다.
후천수는 양의 원리와 양의 순환원리로 표현하는 것이다.
태희로 현상을 보고 천간을 수로 나타낸 것이다.
오행의 목을 시작점으로 하는 단위표현이다.
천간을 후천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선천수는 양의 단위표현을 음의 원리로 표현한다.
은정으로 현상을 보고 천간을 수로 나타낸 것이다.
오행의 수를 시작점으로 하는 단위표현이다.
천간을 선천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임 | 계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1 | 6 | 3 | 8 | 7 | 2 | 5 | 10 | 9 | 4 |
선천수는 후천수를 72 도 회전한 상을 표현한다.
지구의 축이 72 도 회전하면 오행의 성분이 하나씩 이동한다.
목이 수로, 수가 금으로, 금이 화로, 화가 목으로 바뀐다.
토는 중앙으로 본다.
음의 순환원리는 금, 수, 목, 화 네가지로 나타낸다.
혼은 그에 맞는 백을 취하여 존재로 나타낸다.
이치가 표현에 담는 것과 같이 이해하면 되겠다.
갑과 기, 을과 경, 병과 신, 정과 임, 무와 계가 서로 친하다.
천간의 원리를 참조하기 바란다.
갑은 기에 담고, 을은 경에 담는다.
병은 신에 담고, 정은 임에 담으며, 무는 계에 담는다.
목의 혼인 갑 (1)과 토의 백인 기 (6)로하고 수로 성분이 바뀌므로 임과 계로 그 수를 나타낸다.
화의 혼인 병 (3)과 금의 백인 신 (8)으로하고 목으로 성분이 바뀌므로 갑과 을로 그 수를 나타낸다.
토의 혼인 무 (5)과 수의 백인 계 (10)로하고 중앙의 성분이므로 무와 기로 그 수를 나타낸다.
금의 혼인 경 (7)과 목의 백인 기 (2)로하고 화로 성분이 바뀌므로 병과 정으로 그 수를 나타낸다.
수의 혼인 임 (9)과 화의 백인 정 (4)으로하고 금으로 성분이 바뀌므로 경과 신으로 그 수를 나타낸다.
지축이 72 도 회전하여 금이 토로 변하지 않고 화로 나타나는 것은 음으로 현상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은정으로 보면 목(봄), 화(여름), 금(가을), 수(겨울)로 현상을 표현한다.
은정은 현상을 4 가지로 표현한다.
음의 순환원리를 참고하기 바란다.
토는 중앙으로 체를 나타낸다.
음은 체로 표현한다.
용은 양이고 체는 음이다.
선천수는 수를 음의 원리로 표현한다.
그리고 그 변화는 음의 순환원리에 따르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은정에서는 오행의 상생과 상극원리를 논하지 않는다.
오행은 양의 원리로 표현하는 것이다.
양의 원리로 현상을 표현하는 것은 은정이 아니고 태희이다.
선천수는 은정으로 수를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