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사람들끼리
홈
태그
방명록
카테고리 없음
여산송씨 족보..
논깡
2012. 7. 31. 18:57
성씨조회
전체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여산(礪山)
송(宋)
여산(礪山)의 다른성씨
-----------------
김(金)
창(昌)
창(創)
유래
|
분파도
|
유적지
|
소장족보목록
다른 본관
다른 본관을 선택하세요
----------------------
강음(江陰)
김해(金海)
나주(羅州)
남양(南陽)
덕산(德山)
문경(聞慶)
서산(瑞山)
신평(新平)
신평2(新平2)
안산(安山)
야로(冶爐)
야성(冶城)
양주(楊州)
연안(延安)
연안2(延安2)
옥구(沃溝)
용성(龍城)
은진(恩津)
의성(義城)
죽산(竹山)
진천(鎭川)
철원(鐵原)
청주(淸州)
태안(泰安)
태인(泰仁)
홍주(洪州)
여산 송씨(礪山宋氏)
여산(礪山)은 전라북도 익산군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여량(礪良)과 낭산(朗山) 두 현(縣)의 합명인데, 여량현(礪良縣:일명 礪良)은 본래 백제의 지량초현(只良肖縣)을 신라 경덕왕이 여량으로 고쳤다.
낭산현(朗山縣)은 본래 백제의 알지산현(閼地山縣)인데 경덕왕이 야산(野山)으로 고치고 고려 때 낭산으로 하였으며, 1401년(정종 3) 두 현을 합하여 여산현(礪山縣)으로 칭하고 세종 때 군으로 승격, 1699(숙종 25) 부(府)가 되었다가 1895년 다시 여산군이 되고 1913년 익산군에 병합되어 그 일부지역은 여산면으로 남아 있다.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 진사(進士)로 나라에 훈공을 세워 여산군에 봉해졌으며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
문헌에 의하여 그의 선계(先系)는 중국 경조(京兆)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손 자영(自英)이다. 그는 슬하에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인 유익(惟翊)은 여산 송씨(礪山宋氏)의 시조가 되었고, 둘째 천익(天翊)은 은진 송씨(恩津宋氏), 막내 문익(文翊)은 서산 송씨(瑞山宋氏)의 시조가 되어 우리나라 모든 송씨의 연원(淵源)을 이룬것으로 전해진다.
은진·진천 송씨와 함께 우리나라 송씨의 가장 화려한 인맥을 이룬 여산 송씨는 시조의 아들 숙문(淑文)이 고려 원종(元宗)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했고, 증손 송례(松禮)는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로 원나라 도원수(道元師) 홀돈(忽敦), 부원수(副元師) 다구(茶丘)와 함께 일본정벌에 참전한 후 충렬왕때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상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져서 명문의 기초를 다졌다. 그의 손자대에 와서 운( 을:개성원윤을 지냄) 파조(派租)로 하는 원윤공파(元尹公派), 방영(邦英:밀직부사를 역임)을 파조로 하는 밀직공파(密直公派), 원미(元美:소윤을 지냄)를 파조로 하는 소윤공파(少尹公派), 인(璘:지신사를 지냄)을 파조로 하는 지신공파(知申公派), 서(瑞:정가공)를 파조로 하는 정가공파(正嘉公派) 등 크게 다섯 파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맥을 살펴보면 개성원윤(開城元尹) 운( )의 6세손 간(侃)이 세종(世宗)과 단종대(端宗代)에 걸
쳐 형조 참판(刑曹 參判)을 지냈고, 왕명으로 호남을 순무(巡撫)하고 돌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단종이 영월로 쫓겨났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인 여산을 물러 앉아 두문불출(杜門不出)하였다. 단종이 시해되자 산 속으로 들어가 통곡하여, 김시습(金時習)·조상치(曺尙治)·조 여 (趙 旅)·정지산(鄭之産)·이성희(李成熺)·이 축(李 蓄)·엄흥도(嚴興道)와 더불어 복상한 <팔절(八節)>로 숭상받았으며, 흥양(興陽)의 마륜촌(馬輪村) 산정에 숨어서 술이나 먹고 산에 올라가 실컷 통곡하
는 미치광이짓으로 여생을 마쳐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과 운곡서원(雲谷書院)·숙모전(肅慕殿)·세충사(世忠사) 등에 제향되었다. 그의 6세손건(建:현령 하형의 아들)은 임진왜란 때 조방장(助防將) 양사준(梁士俊)의 선봉으로 나가 공을 세우고 성주 판관(星州判官)이 되었으며,뒤에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상중대광(三重大匡)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에 올라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에 봉해져서 명문의 기초를 다졌다. 그의 손자대에 와서 운( 을:개성원윤을 지냄) 파조(派租)로 하는 원윤공파(元尹公派), 방영(邦英:밀직부사를 역임)을 파조로 하는 밀직공파(密直公派), 원미(元美:소윤을 지냄)를 파조로 하는 소윤공파(少尹公派), 인(璘:지신사를 지냄)을 파조로 하는 지신공파(知申公派), 서(瑞:정가공)를 파조로 하는 정가공파(正嘉公派) 등 크게 다섯 파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맥을 살펴보면 개성원윤(開城元尹) 운( )의 6세손 간(侃)이 세종(世宗)과 단종대(端宗代)에 걸쳐 형조 참판(刑曹 參判)을 지냈고, 왕명으로 호남을 순무(巡撫)하고 돌아와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단종이 영월로 쫓겨났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인 여산을 물러 앉아 두문불출(杜門不出)하였다.
단종이 시해되자 산 속으로 들어가 통곡하여, 김시습(金時習)·조상치(曺尙治)·조 여 (趙 旅)·정지산(鄭之産)·이성희(李成熺)·이축(李 蓄)·엄흥도(嚴興道)와 더불어 복상한 <팔절(八節)>로 숭상받았으며, 흥양(興陽)의 마륜촌(馬輪村) 산정에 숨어서 술이나 먹고 산에 올라가 실컷 통곡하는 미치광이짓으로 여생을 마쳐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과 운곡서원(雲谷書院)·숙모전(肅慕殿)·세충사(世忠사) 등에 제향되었다. 그의 6세손 건(建:현령 하형의 아들)은 임진왜란 때 조방장(助防將) 양사준(梁士俊)의 선봉으로 나가 공을 세우고 성주 판관(星州判官)이 되었으며, 뒤에 함창(咸昌)의 싸움에서 화살을 다 쏘고 북배한 다음 장렬하게 순절했다.
도첨의 좌찬성(都僉議左贊成) 원미(元美)의 현손으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을 역임한 극창(克昌)의 아들 천희(千喜)는 성종 때 형조 참판(刑曹參判)과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경상도 관찰사로 나가 함양(咸陽)에서 미신으로 백성을 현혹시킨 무당을 장살(杖殺)하여 기강을 세웠으며 뒤에 이조 판서에 이르렀다. 군수(郡守) 연손(演孫:지신사 인의 6세손)의 아들로 연산군 때 알성(謁聖) 급제한 세림(世林)은 중종 때 능성 현령(綾城縣令)으로 재직중 이도쇄신(吏道刷新)과 지방행정의 개혁을 상소하여 이를 시행케 했으며, 문장과 그림·글씨에 모두 뛰어났고『어면순(禦眠楯)』을 저술하여 문명을 떨쳤다. 그의 아우 세형(世珩)도 학행(學行)이 뛰어났고, 명종(明宗)이 즉위하자 위사삼등공신(衛社三等功臣)으로 대사헌(大司憲)과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거쳐 이조 판서에 올라 요승 보우(普雨)의 처벌을 상소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세형의 손자 여종(汝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낙안 군수(樂安郡守) 신 호(申 浩)의 막료로 이순신(李舜臣)을 따라종군하여 한산도 싸움에서 무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경상좌도 수군우후(慶尙左道水軍虞侯)를 지냈다. 지신사(知申事) 인(璘)의 6세손 현수(玹壽:지중추부사 복원의 아들)는 딸이 단종비(端宗妃:정순왕후)로책봉되자 지돈령부사(知敦寧府事)에 올라 여량군(礪良君)에 봉해졌으며, 옛 친구인 세조(世祖)가 왕위에 오르자 판돈령부사(判敦寧府事)가 되었다. 이어 사육신(死六臣) 사건이 일어나자 대간(臺諫)의 탄핵으로 처벌의 대상이 되었으나 세조의 두둔으로 무사했다가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賜死)된 후 정창손(鄭昌孫)을 비롯한 양사의 주장으로 마침내 주살되었다. 한편 공민왕 때 우정승(右政承)으로 여량부원군에 봉해진 서(瑞)의 7세손 질( :도정 공손의 아들)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워 정국삼등공신(靖國三等功臣)으로 여원부원군(礪原府院君)에 봉해졌고 우의정(右義政)을 거쳐 영의정(領義政)에 올라 크게 명성을 떨쳤다.
특히 눈섭이 길고 코가 높은데 얼굴 모양이 찡그리는 듯하여 왕으로부터 오해를 곧잘 받았다고 한다. 질( )의 손자 인(寅)은 중종의 딸 정순옹주(貞順翁主)와 혼인하여 여성위(礪城慰)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에 봉해졌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 당대의 석학 이 황(李 滉)·조 식(曺 植)·이민구(李敏求)·정 염(鄭 )·이 이(李 理)·성혼(成 渾) 등과 더불어 파당과 귀천을 초월해서 교유하며 문명을 떨쳤으며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 역할까지 했다. 특히 그는 호필(湖筆)의 산지(産地)인 중국 오흥(吳興:우싱)의 필법을 본받아 특출한 서법으로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산릉(山陵)의 지(誌)와 궁전의 현판으로부터 사대부의 비갈에 이르기까지 많은 글을 짓고 썼다. 조선 중기의 거유(巨儒) 익필(翼弼:사련의 아들)은 가문의 문맥(文脈)을 형성한 인물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였다. 7, 8세 때 이미 시사(詩思)에 뛰어나 <산비탈 초가에 달빛이 어른거리네(山家 屋月參差)>라는 시를 지었고, 이 이·성 혼 등과 교유하며 성리학과 예학에 통달했으며, 이산해(李産海)·최경창(崔慶昌)·백광홍(白光弘)·최 입(崔 )·이순인(李純仁)·윤탁연(尹卓然)·하응림 (河膺臨) 등과 함께 <팔문장가(八文章家)>의 한 사람으롤 손꼽혔다. 일찌기 참의 홍경신(洪慶臣)이 그의 형 가신(可臣)에게 항상 익필과 가까이 하지 말기를 권하며 자기도 익필을 만나면 반드시 모욕을 주겠다고 큰소리를 쳤다. 어느날 익필이 경신의 집에 들른 일이 있었는데, 이때 경신이 자기도 모르게 뜰에 내려가 맞이하며 절을 하고는 "내가 절한 것이 아니라 무릎이 스스로 꿇어집니다" 라고 하여, 익필의 인품이 그의 자부심을 꺾었다고 한다. 익필의 형제 부필(富弼)과 한필(翰弼)도 모두 문장(文章)에 능하여 율곡 이 이·우계성 혼과 망형(忘刑)의 벗이 되었으며, 일찌기 율곡은 "성리학을 말할 만한 사람은 익필과 한필 형제뿐이다" 라고 극찬했다. 만년에 고양(高陽)의 귀봉산(龜峰山) 기슭에 내려간 익필은 후진양성에 진력하여 문하에서 김장생(金長生)·김 집(金 集)·정 엽(鄭 曄)·서 성(徐 )·정홍명(鄭弘溟)·김 반(金 槃) 등 훌륭한 학자들을 배출시켰고, 특히 사계 김장생으로 하여금 그의 학통을 잇게 하여 조선 예학의 종주(宗主)를 이루게 하였다.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고 아산진(阿山鎭)에서 적장을 사살하여 <동방(東邦)의 비장군(飛將軍)>으로 불리웠던 순례(純禮)는 현감 옥손(玉孫)의 아들로 니탕개(尼湯介)의 침입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워 선조로부터 악비(岳飛)의 『정충록(精忠錄)』을 하사받고, 제주 목사와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를 역임했으며, 그의 손자 홍연(弘淵)은 임진왜란과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공을 세워 무명(武名)을 떨쳤다. 임진왜란 때 동래성(東萊城)에서 순절한 상현(象賢)은 현감 복흥(復興:감사 익손의 현손)의 아들로 여산 송씨를 더욱 빛낸 인물이다.
10세에 이미 경사(經史)에 통했고,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591년(선조 24) 동래부사(東萊 府使)로 나갔다가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래성 수비에 앞장섰다. 임진년 4월 14일 상현은 남문루에 올라 군사와 백성을 거느리고 적을 정찰하니, 적이 취병장(聚兵場)에 진을 치고 먼저 목판에 <싸우려면 싸우고 싸우지 않으려면 우리에게 길을 빌리라(戰則戰 不戰則 假我道)>고 써서 성 밖에 세웠다.
상현도 역시 목판에 <죽기는 쉽 고 길 빌리기는 어렵다(死易 假道難)>고 써서 적에게 던졌더니 적이 드디어 세 겹으로 포위하여 왔다.
이렇게 싸우기를 반나절이나 하여 진퇴를 거듭하다가 15일 새벽에 적병(敵兵)이 성(城) 뒷산으로 쏟아져 오며, 먼저 허수아비를 만들어 붉은 옷에 푸른 수건을 씌우고 등에 붉은 기를 짊어지게 하고 긴 칼을 차여 긴 장대에 잡아매서 성 안으로 들어 보였다. 성 안이 발칵 뒤집히고 사람들은 놀라 울부짖었다.
적이 칼을 휘두르고 몰려들어 조방장(助防將) 홍윤관(洪允寬), 우위장(右위將) 조영규(趙英珪), 대장 송봉수(宋鳳壽), 교수(敎授) 노개방(盧蓋邦) 등이 모두 죽었다. 상현은 급히 조복을 가져와 갑옷 위에 입고 남문루에 올라 걸상에 걸터앉아 있으면서 적이 가까이 와도 꼼짝 않고 꾸짖었다. "이웃 나라 도리가 이렇단 말이냐, 우리는 너희에게 저버림이 없었는데 너희들은 어찌 이 지경이냐" 하고 신색이 변치 아니하자 화가난 적이 칼을 휘둘렀다. 『일월록(日月錄)』과 『청야만집』에는 상현이 칼을 휘둘러 두어 적을 죽이고 죽었다고 하며,『기재잡기(寄齋 雜記)』에는 상현이 걸상에 앉아 꼼짝하지 않으나 적병이 모여들어 사로잡으려 하자 상현이 신 끝으로 차다가 드디어 해침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성(城)이 함락될 때 평조익(平調益)이라는 글이 있었다. 일찌기 조신(調信)을 따라 왕래하면서 상현을 알게 되었는데 상현이 대접을 잘 하였으므로 조익이 감사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때 상현에게 눈짓을 해서 성옆 으슥한 데로 피하라고 했으나 상현이 응답을 않으니 조익이 못 알아챈 줄 알고 옷을 끌어당기며 가리켰다. 상현은 이미 걸상에서 내려와 북쪽을 향해 절을 하고 나서는 부친(父親)에게 보낼 글을 쓰기를,<외로운 성에는 달이 흐린데,(孤城月暈) 이웃 고을에서는 평안히 누워 돌보지 않습니다. (死陳高枕) 임금과 신하의 의는 중하고,(君臣義重) 부자 간의 은의는 가볍습니다.(父子恩輕)> 하였다. 붓을 놓고 부하에게 말하기를 "내 허리 밑에 사마귀가 있으니 내 죽거든 이것을 표적으로 시체를 거두어라"
하며 장렬하게 순절하였다. 그 뒤에 적이 포로된 사람에게 말하기를 " 너희 나라 충신은 오직 동래 부사 한 사람 뿐이다 " 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상현의 아우 상인(象仁)은 광해군(光海君) 때 김직재(金直哉)의 옥사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위리안치(圍籬安置) 되었다가 풀려나 인조 반정(仁祖反正)으로 직강(直講)과 지평(持平)을 지냈으며, 성 혼이 무고를 입자 이를 바로 밝히는 연서운동을 일으켜 상소했다. 한편 현감 관(寬:간의 6세손)의 아들 대립(大立)은 정유재란 때 창의 별장(倡義別將)으로 권 율의 휘하에서 전공을 세우고 흥양(興陽) 전투에서 장렬하게 순절하였으며, 그의 아우 희립(希立)은 노량 싸움에서 전상(戰像)을 입고 다대포 첨절제사(多大浦 僉節制使)와 전라좌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아버지 대립(大立)이 전사할 때 여덟 살 이었던 심(諶)은 일생을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려고 학문연구와 무예를 닦는 데 일관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북병사(北兵使) 이 항(李 沆)의 휘하로 들어가 청나라 군사와의 싸움에서 용맹을 날리다가 동료의 배신으로 호군(胡軍)에게 포위되었다. 이때 그는 "나의 선친은 마흔 여덟 살에 정유란(丁酉亂)에 죽더니 내 나이 마흔 여덟 살에 정축란(丁丑亂)에 죽는도다" 하며 종일토록 혼자 싸우면서 있는 화살을 다 쏘고 백병전에 부러진 칼로 싸우다가 장렬한 죽음을 당했다.
원주 목사 시철(時喆)의 손자로 숙종 때 등과하여 삼사(三司)의 관직을 거쳐 대사성과 호조 참판을 역임한 징은(徵慇)은 박학하고 문장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약헌집(約軒集)』을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남겼고, 그의 아들 3형제가 뛰어났다. 숙종 때 수찬(修撰)과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거쳐 승지가 되어 정치의 득실을 상소했던 성명(成明:징은의 아들)은 영조 초에 실록청 당상(實錄廳堂上)으로 『숙종실록(肅宗實錄)』개수에 참여하고,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과 공조 판서를 거쳐 대사헌이 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저서로『송석헌집(松石軒集)』을 남겼다.
그의 아우 진명(眞明)도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3도의 관찰사와 이·호·예조의 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올랐으며, 학행과 청렴으로 명망이 높았다.이조 참판 징오(徵五)의 아들 인명(寅明)은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급제하고 검열(檢閱)을 거쳐 설서(設書)로 있으면서 세제(世弟:숙종의 4남, 후에 영조가 됨)의 총애를 받았으며, 영조가 즉위하자 충청도 관찰사를 거쳐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어 붕당(朋黨)의 금지를 건의하고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적극 협조했다. 이어 이조 판서로 노·소론 중에서 온건파를 등용하여 당론을 조정·완화함으로써 영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올라 당쟁을 억누르고 탕평책에 힘써 국가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특히 왕명으로 박사수(朴師洙)와 함께 신임사화의 전말을 기록한『감란록(勘亂錄)』을 편찬하여 붕당으로 인한 폐독을 엄히 경계하였다.
대사헌 성명(成明)의 아들 익보(翼輔)는 영조 때 서로방략(西路方略)과 군민(軍民)의 폐에 관한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명성을 떨쳤고, 그의 양자 문재(文載)가 영조 때 대사간과 대사헌을 거쳐 개성부 유 수(開城府留守)를 지냈으며, 판중추부사 창명(昌明)의 손자 면재(冕載)는 순조 때 정조부사(正朝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한성부판윤과 대사헌을 거쳐 예·형조의 판서를 지냈으며, 헌종 때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그밖의 인물로는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와 예조 참의를 역임한 영대(榮大)와 판관 영윤(榮潤)이 유명했으며, 주옥(柱玉)은 한말에 부패왕조의 폭정을 개탄하여 국가와 민중의 안전을 위한 개혁을 도모코저 녹두장군 전봉준(全琫準)을 수령으로 민중시위를 열다 피체되었고, 수만(秀萬)은 일본이 우리나라의 산림 개발권을 요구하자 <보안회(保安會)>를 조직하여 이를 철회시켰으며 을사조약 후에는 항일운동에 헌신하여, 독립운동가로 유명했던 양섭(良燮)과 함께 명문(名門) 여산 송씨의 가통을 지켰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여산 송씨는 남한에 총 48,209 가구, 200,32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사랑하는 사람들끼리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