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오행은 사주에서 부족한 기운을 보완하여 주는 오행입니다. 사주에서 부족한 기운을 자원오행으로 보완하여 사주의 기운이 상생하고 순환하며 조화를 이루는 좋은 사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사주팔자는 태어날 때 정해지지만 이름은 원하는대로 지을 수 있습니다. 타고난 사주에서 부족한 기운이 있으면 이름에서 보완해 주어야 합니다. (사주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아기이름 작명연구회로 전화 또는 메일 바랍니다.)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글자가 갖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각 오행에 맞게 분류한 자원오행으로 보충합니다. 즉 사주에서 수(水)의 기운이 부족하면, 수의 의미를 내포한 글자(자원오행이 수인 글자 : 江 강강, 河 물하, 海 바다해, ..... )로 작명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어야 합니다.
모든 자연이 순환을 하듯이, 사주에서도 기운이 순환을 해야 합니다.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약한 곳을 보완하고 막힌 기운을 소통시켜 가장 훌륭한 사주의 조건중 하나로 여기는 기가 통하는 사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자원오행 : 부수나 글자가 갖고 있는 원래의 의미를 각 오행에 맞게 분류한 것.
자원오행
글자 예
목(木)
나무목(木), 수풀림(林), 수풀삼(森), 소나무송(松) ...
화(火)
불화(火), 불꽃염(炎), 솥정(鼎), 빛날현(炫) ,...
토(土)
흙토(土), 언덕릉(陵), 뫼산(山), 봉우리민(岷) ...
금(金)
쇠금(金), 거울경(鏡), 구슬옥(玉), 쌍옥각(珏) ...
수(水)
물수(水), 강강(江), 바다해(海), 물하(河) ...
자연에서도 상생의 순환고리가 완성되어야 하듯이 사주에서도 부족한 부분을 이름으로 보충하여 사주의 기운이 상생하고 순환하며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相生관계(상생관계 : 생해주는 관계) 목생화 : 목은 화를 생하여 줌 화생토 : 화는 토를 생하여 줌 토생금 : 토는 금을 생하여 줌 금생수 : 금은 수를 생하여 줌 수생목 : 수는 목을 생하여 줌
목 → 화 → 토 → 금 → 수 └──────────┘
相剋관계(상극관계 : 극하는 관계 ) 목극토 : 목은 토를 극함 토극수 : 토는 수를 극함 수극화 : 수는 화를 극함 화극금 : 화는 금을 극함 금극목 : 금은 목을 극함
목 → 토 → 수 → 화 → 금 └──────────┘
五行
木
火
土
金
水
10 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12 支
寅 卯
巳 午
辰 戌 丑 未
申 酉
亥 子
3. 발음이 좋아야 함 (발음오행이 상생) (발음오행을 소리오행, 음령오행으로도 부름)
이름은 발음하기 쉬운 것이 좋습니다. 이름은 평생 불리어지므로, 발음하기가 어려우면 그것이 누적되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가 있고, 또한 부르는 사람도 이름을 보고 이미지를 연상하므로 가능하면 부드럽게 이어지는 이름이 좋습니다.
한글 자음을 발음으로 구분하여 발음상 연결이 쉬운 관계를 발음오행으로 나타냈으므로, 발음오행이 상생이 되면 발음이 쉽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금니 소리는 혓소리나 입술소리와는 발음상 연결이 쉬우나 (발음오행 상생 : 가나, 가마) , 어금니 소리와 목구멍 소리와는 발음상 연결이 쉽지 않습니다 (발음오행 상극 : 가아, 가하).
한글의 발음은 훈민정음 창제시에는 소리나는 순서가 : ( 音出牙舌脣齒喉 : 훈민정음 해례 참조 ) 어금니소리(아음 :牙音) --> 혓소리(설음:舌音) --> 입술소리(순음:脣音) --> 잇소리(치음:齒音) --> 목구멍소리(후음:喉音) 순으로 나오는 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의 높으신 덕과 밝으신 슬기와 깊으신 연구로 말미암아 창작된 것이다. 그것이 반포된 뒤에 그 오묘한 진리를 갈고 닦은 사람이 거의 없었다. 그러다가 한글이 생겨난 지 305년만에 겨우 비로소 그 묻힌 진리를 파내고자 괭이를 잡은 이가 있으니, 이가 곧 여암이다. 그의 「훈민정음 운해」는 독자적인 음운학적 역학적인 연구를 한 것으로 15세기 「훈민정음해례」로부터 조선조의 학맥을 다시 18세기 중엽으로 이어주고 있는 것이다. 여암의 학적 노작은 확실히 정음학(한글갈)의 중흥자라고 높이 평가를 받고 있다. (한글학회 이사장,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회장을 지내신 한글학자 최현배 선생님 말씀)
조선시대 영조때 여암이 훈민정음에 대하여 본격적인 연구를 하니,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 韻解)에서 소리나는 순서가 목구멍소리(후음:喉音) --> 어금니소리(아음 :牙音) --> 혓소리(설음:舌音) --> 잇소리(치음:齒音) --> 입술소리(순음:脣音) 순서로 소리가 난다고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 韻解)논문 발표후에는 소리나는 순서가 목구멍소리에서 시작하여 입술소리까지 이르는 것을 대부분 인정하고 그에 따라 오행을 정하니 현재 대부분 사람들이 사용하는 발음오행입니다.
물길이 여럿 있어도 물이 흐르기 쉬운 곳으로 물이 흐르며, 그 물이 흐르는 길에 의해 흐름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발음도 상생이 되는 쪽으로 부드럽게 발음이 연결이 되며, 발음이 연결이 되는 쪽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발음오행이 상생이 되도록 작명하기 위해서는 다음중 하나를 만족하면 됩니다.
수는 1부터 9까지가 기본인데 성명학(性名學)에서는 1부터 81까지를 기본으로 하여 각 수(數)가 지닌 기운(氣運)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수리격
성과 이름을 구성하는 글자들의 획수가 길한수인가, 흉한 수인가를 구분하여 길한수로 작명하는 방법입니다. 각 수가 지닌 기운에 근거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원격(元 格) : 이름첫자와 둘째자 합 (초년운세 ) --- 명격,지격등으로도 부름 형격(亨 格) : 성과 이름 첫자의 합 (청년운세 ) --- 주격,인격등으로도 부름 이격(利 格) : 성과 이름 끝자의 합 (중년 운세 ) --- 외격으로도 부름 정격(貞 格) : 성과 이름첫자, 둘째자 모두의 합 ( 말년운세 ) --- 총격으로도 부름
김 (金8획) 대 (大3획) 중 (中4획)
초년 : 원격(대 + 중 = 7획 ) 獨立格(독립격:길) 청년 : 형격(김 + 대 = 11획) 新成格(신성격:길) 중년 : 이격(김 + 중 = 12획 ) 薄弱格(박약격:흉) 말년 : 정격(김 + 대 + 중 =15획) 統率格(통솔격:길)
길한 획수
01수
基本格(기본격)
03수
成形格(성형격)
05수
定成格(정성격)
06수
繼成格(계성격)
07수
獨立格(독립격)
08수
開物格(개물격)
11수
新成格(신성격)
13수
智謀格(지모격)
15수
統率格(통솔격)
16수
德望格(덕망격)
17수
健暢格(건창격)
18수
發展格(발전격)
21수
頭領格(두령격)
23수
攻名格(공명격)
24수
立身格(입신격)
25수
安全格(안전격)
29수
成功格(성공격)
31수
隆昌格(융창격)
32수
僥倖格(요행격)
33수
昇天格(승천격)
35수
平凡格(평범격)
37수
仁德格(인덕격)
38수
福祿格(복록격)
39수
安樂格(안락격)
41수
大功格(대공격)
45수
大智格(대지격)
47수
出世格(출세격)
48수
有德格(유덕격)
51수
春秋格(춘추격)
52수
能直格(능직격)
57수
努力格(노력격)
58수
自力格(자력격)
61수
榮華格(영화격)
63수
吉祥格(길상격)
65수
完美格(완미격)
67수
成長格(성장격)
68수
達成格(달성격)
73수
亨通格(형통격)
75수
旺盛格(왕성격)
81수
還喜格(환희격)
흉한 획수
02수
分離格(분리격)
04수
不定格(부정격)
09수
窮迫格(궁박격)
10수
空虛格(공허격)
12수
薄弱格(박약격)
14수
離散格(이산격)
19수
苦難格(고난격)
20수
虛望格(허망격)
22수
中折格(중절격)
26수
是非格(시비격)
27수
中斷格(중단격)
28수
波亂格(파란격)
30수
浮夢格(부몽격)
34수
破滅格(파멸격)
36수
失敗格(실패격)
40수
無常格(무상격)
42수
苦行格(고행격)
43수
迷惑格(미혹격)
44수
魔障格(마장격)
46수
不知格(부지격)
49수
隱退格(은퇴격)
50수
不幸格(불행격)
53수
不和格(불화격)
54수
辛苦格(신고격)
55수
不忍格(불인격)
56수
不足格(부족격)
59수
不遇格(불우격)
60수
暗黑格(암흑격)
62수
孤獨格(고독격)
64수
沈滯格(침체격)
66수
逆難格(역난격)
69수
衰弱格(쇠약격)
70수
暗難格(암난격)
71수
不安格(불안격)
72수
相半格(상반격)
74수
不交格(불교격)
76수
離散格(이산격)
78수
無力格(무력격)
79수
不信格(불신격)
80수
陰影格(음영격)
(2) 음양의 조화
이름의 수리를 맞출 때도 음양의 조화를 고려하여 작명합니다. 수에서 양은 홀수, 음은 짝수를 나타냅니다. 양 : 1,3,5,7,9,11,13,... 음 : 2,4,6,8,10,12,14,...
조화된 음양 배열 (吉) 양 양 음 ( ○ ○ ● ) 양 음 양 ( ○ ● ○ ) 양 음 음 ( ○ ● ● ) 음 양 양 ( ● ○ ○ ) 음 양 음 ( ● ○ ● ) 음 음 양 ( ● ● ○ )
조화되지 않은 순음,순양의 배열(凶) 양 양 양 ( ○ ○ ○ ) 음 음 음 ( ● ● ● )
예: 김(金8획) 갑(甲5획) 돌(乭6획) : 8(음) 5(양) 6(음) --> 음양의 조화 만족 이름의 수리도 음이나, 양 한쪽으로 편중되지 말고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3) 삼원오행
글자의 획수를 오행으로 표시하여 천격,인격,지격으로 나누어 하늘과 사람과 땅이 상생이 되도록 이름을 작명해야 한다는 이론임. ( 수리에서는 삼원오행보다 수리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천격(하늘:부모) : 성의 획수 (부모에게서 물려 받은것) . 인격(사람:자신) : 성+이름첫자 획수 . 지격(땅:처와 자식) : 이름첫자+이름끝자의 획수
획수와 오행: 1,2획 : 목 3,4획 : 화 5,6획 : 토 7,8획 : 금 9,0획 : 수 획수가 10 이상 이면 끝수로 판단함. 예:15획이면 --> 끝자 5획으로 삼원오행은 토(土)임